박근혜 정부는 학력이나 스펙이 아닌 실력으로 인정받고 대우받는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해 일학습 병행, 선취업 후진학 등 고졸취업 활성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직업계고 취업률이 지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교육부가 발표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취업률은 2009년 16.7%를 최저점으로 7년 연속 상승하여 2016년 47.2%를 기록한 반면, 같은 기간 대학 진학률은 2009년 73.5%에서 2016년 34.2%까지 하락하였다.

2016년 취업률 47.2%는 2015년 취업률 46.6%보다 0.6%p 상승하였으며, 졸업자 중 진학자를 제외한 취업률은 72%로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2015년 67%)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계고 취업률은 진학자를 모수에 포함한 순수 취업률로, 진학자를 모수에서 제외하는 대학 취업률과는 다르게 산정해 왔다.

학교유형별 취업률은 마이스터고 90.3%, 특성화고 47.0%, 일반고 직업반(舊. 종합고 전문반) 23.6% 순으로 나타났다.

마이스터고가 첫 졸업생을 배출한 2013년부터 4년 연속 90%이상의 취업률을 달성한 것은 선취업을 우선하는 중등 직업교육의 선도모델로서의 역할을 잘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성화고‧일반고 직업반 학생의 취업률 상승과 진학률 하락은 과거 무조건적 대학진학에서 벗어나, 먼저 취업하고(先취업) 필요한 경우 대학에 진학(後진학)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어려운 취업환경에도 불구하고 직업계고의 취업률이 지속 상승할 수 있었던 것은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선취업 후진학 등 적극적인 정부의 고졸취업 활성화 정책 효과로 볼 수 있다.

직업교육 부활에 시동을 걸었던 ‘마이스터고 육성방안(2008)’, ‘고교 직업교육 선진화방안(2010)’에서 현 정부의 국정과제와 연계한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직업교육 강화’, ‘고졸 취업 활성화 방안(2014)’, ‘산학일체형 직업교육 활성화 방안(2014)’까지 지속적 정책적 지원이 있었다.

정부부처에서도 소관 산업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기능인재 양성을 위해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 대한 재정지원은 물론,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원연수, 산학협력 및 취업까지 지원하고,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단지공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학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취업할 수 있도록 국가산업단지 내 기업과 인근학교가 산학일체형 교육, 기업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학생 선발 과정에서 중학생의 성적이 아닌 소질과 적성, 취업의지를 반영한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을 확대하여 소질과 적성을 갖춘 학생들이 점차 특성화고에 입학하고 있으며, 특성화고‧마이스터고가 현장성 있는 직업교육으로 직무능력을 향상시켜 단순근로자가 아닌 산업의 핵심기술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정부는 취업률의 양적 상승과 더불어 고졸취업의 질 제고를 위해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유관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근무여건이 양호하고 성장잠재력 높은 중견기업에 고졸채용이 확대 될 수 있도록 하고, 기업의 고졸인재 채용 확대를 위해 대기업, 공공기관, 금융기관 및 경제단체 인사담당자와의 간담회를 지속 추진하여 정부-민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저작권자 © GNB온세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