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영상 충효예실천운동본부. 세계평화실천운동본부 공동 총재

남편과 아내는 각각의 별개로 해야 할 일이 일정하게 구분되어 있다. 그러므로 남편은 창도(唱道)(주창하는 것)하고 아내는 이에 따른다는 것이다. 또 부화부순(夫和婦順)(남편을 따르는 것)으로 분명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남편이 해야 할 일과 아내가 해야 할 일이 다르고, 또한 남편과 아내가 해야 할 일은 분명히 구분되어 있으니, 각자의 할 일을 각자해야 하므로 내적(內的)으로 해야 할 일은 아내가 가정 내 살림으로 맡아서 해야 하며, 외적으로 해야 할 일은 바깥 일 이므로 남편이 맡아 집 밖의 활동을 통해서 경제적으로 가계를 꾸려나가야 한다는 똑같은 책무를 갖는다는 뜻이다. 그래서 내외간의 활동을 통하여 가정이 화합하고 질서가 정연하며 각자 내외의 구분된 책임을 다함으로써 사랑과 조화와 안녕이 가정의 평화를 이룩하는 본이 된다는 것이다.

내외가 구분된 각기의 업무를 분담하여 가정을 꾸려 나아가되 남편이 그 주역을 맡고 아내가 그 조역(助役)을 맡아서 생활함으로써 화순(和順)한 가통(家統)이 이룩된다는 것으로 전통적으로 여필종부(女必從夫)(남편을 따르는 것)란 말이 발상된 연고라 말할 수 있다.

전통사회에서는 부부유별(夫婦有別)의 뜻을 왜곡하여 남존여비의 사회적 신분의 차별적 대우를 받은 것으로 생각되나 이는 여기서의 문제보다도 남자선호사상에서 연유된 점이 지배적이라 본다. 대를 잇는 자식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이것이 남존여비로 탈바꿈한 큰 원인이 되었다고 본다. 또한 중요한 사회구조적 입장은 인구가 적고 보니, 종족의 번성은 가문의 번성으로 보기 때문이며, 자식을 많이 낳아 잘 기르면 상을 받는 사회적 환경 아래서는 더욱 남아 선호사상이 지배적이었다는 것은 재언할 필요 없다. 그런 까닭으로 윤리의식은 시대개념으로 상당히 변화되고 있음을 말한다.

물론 지금도 아들, 딸이란 말의 순서도 딸 아들이 아닌 아들, 딸이다. 아들, 딸을 차별대우하여 한 말이 아니다. 언어의 질서 내지 인륜의 질서이다. 또 자녀를 적게 낳을수록 우대받는 사회도 있고 다산을 장려하는 사회도 있다. 이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윤리관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서 분명히 밝힐 문제가 있다. 인간은 반드시 적거나 많거나 간에 종족보전의 책임이 있다. 이 책임의식을 망각한다면 이는 인류의 죄악이다. 그러므로 인간생명의 존엄성과 숭고함은 인간이 지켜야할 마땅한 도리이다.

저작권자 © GNB온세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